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022/099

고사성어 조삼모사 뜻과 의미 및 사용법은? 우리가 어떤 상황 또는 시기, 의미등을 부여하고 이야기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그것을 고사성어라고 부르는데 그 고사성어 중에서 조삼모사라는 단어가 있는데 이 단어는 '아침에 세개 저녁에 네개'라는 뜻으로 당장의 차이에 신경쓰지만 결과는 매한가지라는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 잔꾀로 남을 농락하는 것을 말하는 뜻이기도 합니다. 조는 아침조 / 삼은 석삼 / 모는 저녁모 / 사는 넉사이며 원숭이한테 아침에 세개 저녁에는 네개의 도토리를 준다는 것으로 잔 술수를 이용하여 상대방을 현혹시키는 모습을 뜻하는 단어 입니다. 조삼모사의 유래를 살펴보면 송나라의 저공은 원숭이를 좋아했습니다. 그리고 그 원숭이의 수가 늘어나면서 먹이를 구하기 힘들어지게 되었고 이것을 고민하다가 원숭이 먹이를 줄이기로 하였.. 2022. 9. 5.
검수완박 뜻과 의미 사용법은? 검수완박이란? 무슨뜻일까요? 최근 정치권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중 하나가 검수완박이라는 단어 입니다. 이 단어는 검찰의 수사권 완전박탈한다는 뜻입니다. 기존 검찰들이 보유하고 있던 수사권들이 박탈됨에 따라서 특검 등의 수사행위가 전면적으로 금지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현재 새정부에서 검찰개혁에 대한 일환으로 검수완박이 통과되면서 경찰에게 완전히 넘겨주자는 뜻입니다. 그리고 검찰개혁은 매 정부마다 이야기가 되어 왔던 것이기도 합니다. 또 검찰개혁이 이루어지게 되면 검찰에서는 경찰과 상호 협력해서 6대 범죄만 수사를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6대 범죄는 선거/경제/공무원/부패/방위사업/대형참사의 수사권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검찰개혁에 대한 검수완박 누구를 위한 개혁인지 아직 잘 모르겠지.. 2022. 9. 5.
우리은행 무통장입금 하는법 우리은행을 이용하다보면 통장이나 카드를 가지고 가지 않아서 이용을 못해 집에 갈 때도 있습니다. 이때 무통장, 무카드, 무매체로 ATM기기로 입급하는 방법이 있어서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일단 우리은행 ATM기기에 가서 입급/무통장송금을 눌러 줍니다. 그리고 무통장송금(무카드)를 클릭 합니다. 그다음 확인을 눌러주시고 입금하시는 의뢰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눌러 줍니다. 그다음 입금하실 계좌번호를 눌러 줍니다. 계좌번호를 눌러 준다음 확인을 눌르시며 보내시는 분 또는 입금자의 핸드폰 번호나 유선전화번호를 입력하셔야 합니다. 번호를 입력후 확인을 눌러 줍니다. 그리고 의뢰인 입력으로 가는데 입력을 원한다면 의뢰인 입력을 누르고 정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현금을 투입하면 되는.. 2022. 9. 5.
반응형